2025 최신 구글 크롬 자동 로그인 풀림 현상 해결방법

최근 크롬 자동 로그인 풀림 현상 때문에 매일 아침마다 구글 계정과 자주 가는 사이트에 다시 로그인해야 해서 큰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주 브라우저로 크롬을 쓰는 분이라면 공감하실 텐데요, 저 역시 한동안 원인을 몰라 헤매다가, 크롬 최신 버전(138.0.7204.184)을 기준으로 문제를 하나씩 점검하고 해결했습니다. 제가 실제로 적용해서 효과를 본 크롬 자동 로그인 문제 해결방법을 되도록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작성했습니다.
blog it 20250806 00tt

🔍 이런 증상 겪어보셨나요?

  • 매번 구글 계정 또는 자주 가는 사이트에 다시 로그인해야 한다?

  • 크롬을 재시작하면 자동 로그인 상태가 풀려있다?

  • 심지어 비밀번호 저장도 안 되는 것처럼 느껴진다?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설정 확인

자동 로그인 문제의 핵심 원인 중 하나는 브라우저가 쿠키와 사이트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저장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크롬에서는 특정 사이트의 쿠키 저장을 막아두거나, 브라우저를 닫을 때 자동으로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설정해두면 로그인 정보가 유지되지 않습니다.

  1. 주소창에 chrome://settings/content/siteData를 붙여넣어 이동한 뒤 “사이트에서 기기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허용” 항목이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 옵션이 꺼져 있으면 브라우저가 닫힐 때마다 쿠키가 삭제돼 자동 로그인 쿠키가 사라집니다.
    blog it 20250806 00

  2. 크롬의 서드 파티 쿠키 설정에서 허용 목록에 사이트 주소 (예: naver.com)를 추가합니다. 설정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 서드 파티 쿠키 → 추가를 선택하고 naver.com을 입력합니다.

  3. 이어서 사이트 데이터 항목에서도 naver.com을 허용 목록에 추가합니다

 

위 두 가지 설정을 완료한 뒤 크롬을 재시작하면 구글 서비스 로그인이 유지되는지 확인하세요


서드파티 쿠키 허용

로그인 처리 서버가 외부 도메인(예: 로그인 인증 서버, 소셜 로그인 플랫폼)을 통해 쿠키를 발급하는 경우, 해당 쿠키가 ‘서드파티 쿠키’로 간주됩니다. 하지만 크롬에서 서드파티 쿠키 차단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이러한 외부 도메인에서 생성되는 쿠키가 자동으로 차단되면서 로그인 상태 유지가 되지 않고 풀리게 됩니다.

예를 들어,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하거나 Facebook 계정으로 연동 로그인하는 경우, 그 인증 쿠키가 제대로 저장되지 않으면 매번 로그인 정보를 다시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죠.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서드파티 쿠키 차단 설정을 해제하거나, 최소한 신뢰할 수 있는 도메인에 대해 예외 처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설정 방법:

  1. 크롬 주소창에 chrome://settings/cookies를 입력하고 Enter를 눌러 쿠키 설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blog it 20250806 03

  2. ‘서드파티 쿠키 차단’이라는 항목이 보일 텐데요, 여기서 ‘시크릿 모드에서 서드 파티 쿠키 차단’ 또는 ‘서드 파티 쿠키 허용’으로 선택을 변경합니다.

    • ‘서드파티 쿠키 차단’은 기본적으로 외부 사이트(로그인 인증서버, 광고 추적 도메인 등)의 쿠키 저장을 막는 기능입니다. 이를 끄면 외부 인증 서비스(예: 구글 로그인, 페이스북 로그인)를 통해 로그인한 사이트의 상태도 유지됩니다.

    • 만약 중요한 사이트에서만 예외로 허용하고 싶다면, 아래쪽에서 ‘사이트별 예외 설정’을 통해 허용할 수 있습니다.

  3. 또한 “모든 창이 닫힐 때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삭제”라는 옵션이 켜져 있으면, 로그인 정보가 매번 초기화됩니다. 이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반드시 꺼주세요.

    • 이 기능은 보안을 중시하는 사용자가 자주 쓰는 설정이지만, 자동 로그인에는 치명적입니다.

⚠️ 단,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모든 사이트에 허용하는 것보다는 필요한 사이트만 예외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크롬 계정 로그인 및 동기화 확인

크롬 동기화를 사용하면 하나의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한 모든 기기에서 비밀번호, 즐겨찾기(북마크), 방문 기록, 열린 탭, 그리고 로그인 세션 정보까지 자동으로 동기화됩니다. 예를 들어, 데스크탑에서 로그인한 사이트 정보가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의 크롬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다시 로그인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이 기능은 특히 여러 대의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하며, 기기를 교체하거나 초기화했을 때도 기존 환경을 빠르게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 동기화가 꺼져 있거나 계정 로그인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활성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설정 방법:

  1. 크롬 우측 상단 프로필 아이콘 클릭

  2. 동기화 사용 중 상태인지 확인

  3. 미사용이라면 chrome://settings/syncSetup에서 동기화 설정을 진행
    blog it 20250806 01

  4. 비밀번호, 주소록, 앱 등 동기화 항목 확인 및 활성화
    blog it 20250806 02

🔐 2단계 인증 오류나 계정 보안 알림으로 동기화가 꺼져 있을 수도 있으니 점검하세요.


확장 프로그램 및 보안 툴 점검

간혹 광고 차단기, 보안 솔루션, 백신 프로그램 등이 쿠키를 자동 삭제하거나 세션을 차단합니다.

점검 방법:

  1. 주소창에 chrome://extensions 입력 후 이동

  2. 광고 차단기, 시크릿 모드 강제 설정 확장 등 비활성화

  3. 문제가 해결되면 하나씩 다시 켜보며 원인 확장 프로그램을 찾습니다

  4. 백신이나 최적화 프로그램의 “브라우저 클리너” 기능이 있다면 예외 설정 추가

🧩 회사에서 배포한 보안 툴이 있는 경우, IT 부서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크롬 사용자 데이터 폴더 삭제 및 재구성

일부 손상된 사용자 데이터 파일은 크롬 브라우저가 로그인 상태를 기억하는 데 필요한 세션 정보를 제대로 저장하거나 불러오는 것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크롬은 사용자 설정, 캐시, 확장 프로그램, 쿠키 정보 등을 ‘User Data’ 폴더 안에 저장하는데, 이 중 일부 파일이 손상되거나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면 자동 로그인 기능이 비활성화되거나 반복적으로 풀리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크롬이 갑작스럽게 종료되었거나 백신 프로그램이 이 폴더 일부를 삭제했을 때 이런 문제가 생기기 쉬운데, 이럴 경우 손상된 폴더를 삭제하고 새로 생성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단, 삭제 전에 반드시 데이터를 백업하고, 구글 계정 동기화가 정상 작동 중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설정 방법:

  1. 크롬 완전히 종료

  2. 파일 탐색기 열기 → 아래 경로로 이동

%USERPROFILE%\AppData\Local\Google\Chrome\User Data\
  1. User Data 폴더를 안전하게 다른 곳에 백업

  2. 원본 폴더를 삭제한 후 크롬을 재실행

  3. 구글 계정 로그인 후 동기화로 복원

  4. 자동 로그인 기능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

⚠️ 북마크, 비밀번호 등 동기화 안 돼 있다면 복구 어려우니 백업 필수!


🎯 자동 로그인 유지 팁

  • 정기 점검: 한 달에 한 번 쿠키/확장 프로그램 설정 확인

  • 프로필 분리: 업무용/개인용 프로필 분리로 충돌 방지

  • 시크릿 모드 사용 자제: 자동 로그인은 시크릿 모드에서 작동하지 않음


✍️ 따라하면 쉽다!

크롬 브라우저 자동 로그인 풀림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상세히 소개해 드렸습니다. 위 방법들로 적용하고 나서부터는 로그인 스트레스가 싹 사라졌습니다. 혹시 같은 문제를 겪고 있다면 위 단계를 따라 하나씩 적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5년 무료 vs 유료 VPN 승자는? 속도·로그·가격 비교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