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 변경만으로 느린 인터넷 속도, 스트리밍 끊김, 게임 핑 문제 언제나 짜증납니다. 생각보다 쉽게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Cloudflare, Google DNS 등 추천 서버부터 윈도우, 안드로이드, 아이폰 설정법까지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DNS 설정법을 모아보았습니다.
🚩 이런 분에게 추천합니다
-
웹사이트 로딩 속도가 유난히 느리게 느껴지는 분
-
온라인 게임에서 핑(Ping) 지연이 잦은 분
-
스트리밍 영상이 자주 버퍼링되는 분
-
인터넷 속도를 손쉽게 향상시키고 싶은 분
1. DNS란 무엇인가?
DNS(Domain Name System)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입니다. 우리가 “google.com”을 입력하면, DNS 서버가 이를 실제 IP 주소(예: 172.217.175.78)로 변환해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하지만 느린 DNS 서버를 사용하면 이 변환 과정이 지연되어 인터넷 사용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빠른 DNS 서버로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속도 향상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2. DNS를 바꾸면 어떤 변화가 생기나?
✅ DNS 변경의 이점
-
도메인 응답 시간 단축: 주소 변환이 더 빨라져 웹사이트 초기 로딩이 빨라짐
-
버퍼링 감소: YouTube, Netflix 등의 영상 스트리밍 속도 향상
-
게임 핑 감소: 온라인 게임 서버와의 연결 지연 최소화
-
접속 안정성 향상: 불안정한 기본 DNS를 우회하여 안정적인 연결 유지
3. 추천 DNS 서버 리스트
🌐 전 세계에서 검증된 고성능 DNS
DNS 제공자 | 주소 1 | 주소 2 | 특징 |
---|---|---|---|
Cloudflare | 1.1.1.1 | 1.0.0.1 | 빠른 응답, 개인정보 보호 탁월 |
8.8.8.8 | 8.8.4.4 | 안정성 우수, 구글 서비스 최적화 | |
Quad9 | 9.9.9.9 | 149.112.112.112 | 악성 웹사이트 차단, 보안 중심 |
OpenDNS | 208.67.222.222 | 208.67.220.220 | 피싱 방지, 자녀 보호 기능 제공 |
🌏 국내 통신사 DNS (한국 사용자에게 추천)
통신사 | 주소 1 | 주소 2 |
---|---|---|
KT | 168.126.63.1 | 168.126.63.2 |
SKT | 219.250.36.130 | 210.220.163.82 |
LG U+ | 164.124.101.2 | 203.248.252.2 |
4. 윈도우 10/11에서 DNS 변경하는 방법
방법 1. 설정에서 직접 변경
이 방법은 윈도우 10 또는 11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해 쉽게 DNS를 바꾸는 방법입니다.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도 아래 순서를 천천히 따라 하면 설정이 가능합니다.
-
시작 버튼 클릭 →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누릅니다.
-
네트워크 및 인터넷 메뉴를 선택합니다.
-
왼쪽 메뉴 또는 화면 하단에서 어댑터 옵션 변경을 클릭합니다.
-
인터넷에 연결된 네트워크(예: Wi-Fi 또는 이더넷)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속성을 선택합니다.
-
항목 중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를 찾아 한 번 클릭하고, 오른쪽 아래의 속성 버튼을 누릅니다.
-
아래쪽에 있는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항목을 선택합니다.
-
원하는 DNS 주소를 입력합니다:
-
예) 기본 DNS 서버:
1.1.1.1
, 보조 DNS 서버:1.0.0.1
(Cloudflare)
-
-
입력이 끝났으면 확인을 눌러 모든 창을 닫고 설정을 저장합니다.
📌 팁:
-
설정을 바꾸기 전, 기존에 입력된 값을 메모해두면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
보조 DNS는 필수는 아니지만, 기본 DNS에 문제가 생겼을 때 자동으로 대체되므로 함께 입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방법 2. 명령어로 변경 (고급 사용자용)
이 방법은 명령어(cmd) 또는 PowerShell을 이용해 DNS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네트워크 설정을 빠르게 변경하거나 여러 장비를 관리할 때 사용됩니다. 윈도우 기본 기능만으로도 간단히 설정할 수 있고, 특히 Wi-Fi를 사용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 적용 시나리오:
-
설정 화면에 접근이 어려운 경우
-
자동화 스크립트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
-
여러 대의 PC에 동일 설정을 빠르게 적용하고 싶은 경우
실행 방법:
-
시작 버튼 클릭 → “cmd”를 입력 → **명령 프롬프트(또는 PowerShell)**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DNS를 변경합니다:
netsh interface ip set dns "Wi-Fi" static 1.1.1.1
netsh interface ip add dns "Wi-Fi" 1.0.0.1 index=2
📌 설명:
-
"Wi-Fi"
는 사용 중인 네트워크 어댑터 이름입니다. 다른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예: “이더넷”) 해당 이름으로 바꿔야 합니다. -
static
은 수동 설정을 의미합니다. 자동이 아닌 내가 지정한 DNS 주소를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
index=2
는 보조 DNS로 추가된다는 뜻입니다.
🧪 입력 예시:
-
기본 DNS를
1.1.1.1
로, -
보조 DNS를
1.0.0.1
로 설정하는 명령입니다 (Cloudflare DNS 기준).
💡 주의사항:
-
관리자 권한이 없으면 설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DNS를 다시 자동 설정으로 돌리려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netsh interface ip set dns "Wi-Fi" dhcp
netsh interface ip set dns "Wi-Fi" static 1.1.1.1
netsh interface ip add dns "Wi-Fi" 1.0.0.1 index=2
5. 스마트폰에서 DNS 변경하기
안드로이드
WiFi 연결 기준 (Android 9 이하도 사용 가능)
이 방법은 Android 스마트폰에서 WiFi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DNS 서버를 변경하는 과정입니다. Android 9 이전 버전도 사용할 수 있고, 루팅이 필요 없습니다.
-
설정 앱을 엽니다 → WiFi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
현재 연결된 WiFi 이름을 터치하여 상세 정보를 봅니다.
-
‘네트워크 수정’ 또는 ‘연결 설정 관리’를 선택합니다.
-
‘고급 옵션 표시’ 또는 **’고급 설정’**을 활성화합니다.
-
‘IP 설정’ 항목을 ‘고정’으로 변경합니다. (기본값은 ‘DHCP’로 되어 있음)
-
아래로 내려가면 DNS 1, DNS 2를 입력할 수 있는 칸이 나옵니다.
-
예) DNS 1:
1.1.1.1
, DNS 2:1.0.0.1
(Cloudflare DNS)
-
-
저장 버튼을 눌러 변경 사항을 적용합니다.
📌 주의사항:
-
‘IP 설정’을 고정으로 바꾸면, 기존 IP 주소 항목도 직접 입력해야 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표시된 IP 주소 정보를 복사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이 설정은 현재 연결된 WiFi 네트워크에만 적용됩니다. 다른 WiFi를 사용할 때는 별도로 설정해야 합니다.
프라이빗 DNS 설정 (Android 9 이상)
Android 9 이상을 사용하는 스마트폰에서는 ‘프라이빗 DNS’ 기능을 통해 전체 인터넷 트래픽에 적용되는 DNS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WiFi뿐 아니라 LTE/5G 등 모든 연결에 영향을 미치므로 한 번만 설정하면 됩니다.
-
설정 앱을 엽니다.
-
연결 또는 네트워크 및 인터넷 메뉴로 이동합니다.
-
아래쪽의 기타 연결 설정 또는 고급 설정을 선택합니다.
-
프라이빗 DNS 메뉴를 찾고, 클릭합니다.
-
프라이빗 DNS 제공자 호스트 이름 지정 옵션을 선택합니다.
-
원하는 DNS의 호스트 이름을 입력합니다:
-
Cloudflare:
1dot1dot1dot1.cloudflare-dns.com
-
Google:
dns.google
-
Quad9:
dns.quad9.net
-
-
입력 후 저장하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 주의사항:
-
IP 주소 형태(
1.1.1.1
등)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이 아니라, 정식 도메인 주소 형식만 허용됩니다. -
오타가 있을 경우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니 정확하게 입력하세요.
-
모든 앱과 브라우저에서 자동으로 이 DNS가 적용됩니다.
💡 프라이빗 DNS는 어떤 점이 좋은가요?
-
DNS 요청이 암호화되어 보안이 향상됩니다.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사용자의 DNS 요청을 추적하기 어려워집니다.
-
한 번만 설정하면 WiFi, LTE, 5G 모두에 적용됩니다.
-
설정 → 연결 → 기타 연결 설정 → 프라이빗 DNS
-
프라이빗 DNS 호스트 이름에 입력:
-
Cloudflare:
1dot1dot1dot1.cloudflare-dns.com
-
Google:
dns.google
-
Quad9:
dns.quad9.net
-
iPhone/iPad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에서 DNS를 변경하면, 해당 WiFi 연결에 대해 더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 설정은 LTE/5G에는 적용되지 않고, 현재 연결된 WiFi에만 적용됩니다.
📱 설정 방법:
-
아이폰 또는 아이패드에서 설정 앱을 엽니다.
-
WiFi 항목으로 들어가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 이름 오른쪽의 (i) 버튼을 누릅니다.
-
스크롤을 내려 DNS 구성 항목을 찾습니다.
-
자동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수동으로 변경합니다.
-
기존에 입력된 DNS 서버가 있다면 삭제한 후, 새로운 DNS 주소를 추가합니다.
-
예)
1.1.1.1
(Cloudflare),8.8.8.8
(Google)
-
-
입력이 끝났다면 오른쪽 상단의 저장 버튼 또는 뒤로 가기를 눌러 설정을 완료합니다.
💡 팁:
-
여러 개의 DNS 서버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빠른 서버를 우선순위로 위에 입력하세요.
-
이 설정은 WiFi 네트워크마다 별도로 적용해야 합니다. 다른 장소의 WiFi를 사용할 경우 다시 설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
DNS 주소는 숫자 형식만 입력 가능합니다. (도메인 주소는 iOS 프라이빗 DNS에서만 사용 가능)
🔒 보안을 더하고 싶다면?
iOS에서는 DNS 요청을 암호화하는 ‘프라이빗 DNS’ 기능이 기본 제공되지는 않지만, 1.1.1.1 앱(Cloudflare) 등으로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설정 → WiFi → (i) 버튼 클릭
-
DNS 구성 → 수동 선택
-
기존 DNS 삭제 후 새 DNS 주소 입력
6. DNS 성능 테스트 방법
프로그램 사용
-
GRC DNS Benchmark (Windows 전용): https://www.grc.com/dns/benchmark.htm
-
Namebench (구글 제공): https://code.google.com/archive/p/namebench/
명령어로 속도 측정 (Windows)
명령어를 이용하면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DNS 서버의 응답 속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PowerShell을 이용한 예시입니다.
Measure-Command {nslookup www.naver.com 8.8.8.8} | Select-Object TotalSeconds
Measure-Command {nslookup www.naver.com 1.1.1.1} | Select-Object TotalSeconds
🔍 설명:
-
nslookup www.naver.com 8.8.8.8
명령은 Google DNS 서버를 통해 naver.com의 IP 주소를 조회하는 요청입니다. 단, 네트워크 정책이나 방화벽 설정에 따라 ‘권한 없는 응답’ 또는 ‘Non-authoritative answer’ 메시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는 정상적인 응답이며, IP 주소 정보가 전달되면 DNS 서버가 작동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
Measure-Command
는 이 요청이 몇 초 걸렸는지를 측정합니다. -
Select-Object TotalSeconds
는 실행 시간(초 단위)만 표시합니다.
🧪 활용 팁:
-
여러 DNS 주소를 입력해보고 속도가 가장 빠른 서버를 선택하세요.
-
이 명령은 DNS 요청만 측정하므로, 인터넷 속도 테스트가 아니라 DNS 응답 시간 비교 도구입니다.
-
결과가 작을수록(예: 0.03초) 해당 DNS가 더 빠르게 작동하는 것입니다.
💡 참고: 관리자 권한의 PowerShell에서 실행해야 오류 없이 동작합니다.
Measure-Command {nslookup www.naver.com 8.8.8.8} | select TotalSeconds
Measure-Command {nslookup www.naver.com 1.1.1.1} | select TotalSeconds
7. 게임 사용자라면 DNS를 이렇게!
🇰🇷 국내 게임: KT 또는 통신사 기본 DNS
-
예시: 리그 오브 레전드(LoL), 피파, 배틀그라운드 등 한국 서버 기반 게임
-
이유: 한국 내 서버와 가까운 거리의 통신사 DNS는 전송 지연 시간이 짧아 빠른 응답을 유도합니다.
-
체감 효과: 빠른 게임 서버 접속, 로딩 시간 단축, 핑 감소, 접속 안정성 향상
🌍 해외 게임: Cloudflare 또는 Google DNS
-
예시: 스팀(Steam) 게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디아블로 시리즈, 오버워치 등
-
이유: 글로벌 서버 분산 환경에서 Cloudflare(1.1.1.1), Google DNS(8.8.8.8)는 전 세계 응답 속도와 안정성이 우수하여 최적의 경로 제공 가능
-
체감 효과: 국제 연결 지연 감소, 멀티플레이 접속 속도 향상, 대형 업데이트 다운로드 안정성 향상
🎮 콘솔 게임기(PlayStation, Xbox): Cloudflare DNS 권장
-
이유: 콘솔 게임은 멀티플레이, 대용량 패치, 음성 채팅 등 다양한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하므로, 보안성과 응답성이 동시에 요구됨
-
Cloudflare DNS 특징: 빠른 전 세계 응답 속도, 개인정보 미수집 정책, 24시간 내 로그 삭제 등으로 안정성과 프라이버시 보장
-
체감 효과: 끊김 없는 음성 채팅, 빠른 다운로드 속도, 서버 연결 신뢰도 향상
8. 변경 후 문제 해결 팁
-
DNS 캐시 초기화
ipconfig /flushdns
ipconfig /registerdns
-
네트워크 초기화
netsh winsock reset
netsh int ip reset
-
일부 서비스에선 위치 우회로 인식될 수 있음: 은행, 지역 제한 스트리밍 주의
🔧 주기적 점검과 유지관리도 중요합니다
-
월 1회 DNS Benchmark로 속도 재측정
-
신규 고속 DNS 등장 여부 확인
-
공유기 DNS 설정도 함께 적용하면 모든 장비에 일괄 적용 가능
🔹 DNS만 바꿨는데 빨라진다고?
DNS 변경은 복잡한 작업 없이 누구나 쉽게 시도할 수 있는 속도 향상 팁입니다.
저 역시 Cloudflare DNS로 변경한 후 브라우저 로딩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졌고, 즈위프트 게임 시 끊김이 확연히 줄어드는 경험을 했습니다. 그리 어려운 설정이 아니니 빠르고 안전하게 사용해보고 싶다면, DNS를 바꿔보세요!
2025년 무료 vs 유료 VPN 승자는? 속도·로그·가격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