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Zwift 할인코드 최신 정리, 즈위프트 절약법

즈위프트를 시작하려는 로드사이클 입문자나 중급 라이더라면 주목해야 할 정보다. 실내훈련 플랫폼인 즈위프트(Zwift)는 똑같이 유료 결제를 해도 방법과 타이밍, 할인코드 조합에 따라 연간 수십만 원 차이가 날 수 있다. 즈위프트를 가성비 넘치게 이용하기 위한 무료 체험 최대 활용법부터 시즌 전략, 할인 코드 조합, 웹 결제/인앱 결제 선택법까지 2025년 7월 기준 최신 정보를 정리했다.

zwift 5


첫 시작은 무료로, 최대한 뽑아먹기

즈위프트는 신규 가입자에게 기본적으로 14일간 무료 체험을 제공한다. 이 기간 안에 계정을 만들고 장비 연동까지 끝내야 한다. 중요한 점은 무료 체험은 ‘결제 정보 없이 시작 가능’하다는 것. 여기에 매월 자동으로 리셋되는 25km 무료 주행 거리까지 잘 활용하면 한 계정으로도 수차례 주행이 가능하다.

처음 이용할때는 즈위프트에 대해 아무것도 모를때라 이런 방법으로 접했다:

  • 24km까지 라이딩 후 앱을 종료
  • 다음날 1km만 추가 주행
  • 이렇게 하면 25km 제한 조건을 피하면서도 길게 한 세션을 유지할 수 있었다

10km정도만 즐겨도 즈위프트의 재미나 운동량을 느끼기에는 충분하다.

추가로, 이메일 주소만 다르면 복수 계정 생성도 가능하다. 무료 거리 주행 + 14일 체험을 계정마다 활용하면 한 달 이상 유료 결제 없이 실내 훈련이 가능했다. 친구 추천 프로그램까지 활용하면 연간 최대 5개월 무료 혜택까지 얻을 수 있으니, 추천 링크는 꼭 챙기자.


할인 코드, 시작할 타이밍을 잡자

2025년 7월 기준으로도 유효한 할인 코드가 여럿 있다. 일부는 전체 상품 적용, 일부는 특정 하드웨어에만 적용된다. 아래는 대표적인 코드들이다.

할인 코드 할인율 적용 대상 유효 기간
RYANZWIFT10 10% 전체 상품 2025.07.10
ZWIFTMIKE10 10% 전체 상품 2025.07.11
TOUR2025 55% 선택 상품 2025.07.10
POWERUP 5% Zwift Ride 하드웨어 활성화 시점 기준

zwift 3

이 중 TOUR2025는 시즌 한정으로만 열리는 강력한 코드다. 시기별 이벤트나 투어 기간에 주로 풀리니, 관련 소식은 미리 챙겨두는 게 좋다. 할인율이 15% 이상일 경우엔 웹사이트 결제가 유리하다. 왜냐하면 앱 내 결제는 코드 적용이 안 되기 때문이다.


인앱 결제 vs 웹사이트 결제, 뭐가 더 쌀까?

주변에서 즈위프트 이용할때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이 결제에 관한 것이다. 간단히 말해 아래와 같다.

  • 앱 결제: 19,500원 고정. 할인 적용 불가
  • 웹 결제: 약 22,000원. 할인 코드 사용 가능

할인 코드가 없다면 앱 결제가 더 저렴하다. 반대로 10% 이상 할인 코드가 있다면 웹사이트에서 결제하는 게 이득이다. 이 둘을 잘 섞으면 ‘최저가 결제 루틴’이 만들어진다.

개인적으로는 다음 방식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1. 첫 한 달은 무료 체험 + 인앱 결제
  2. 그다음 달은 할인 코드 확보 후 웹 결제
  3. 이후 시즌에 맞춰 유료/무료 병행

계절에 맞게 이용하자

12월부터 2월까지는 날씨 영향으로 실외 라이딩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 시기에는 즈위프트 유료 결제를 활용해 실내 훈련에 집중하기 좋다. 추운 겨울 저녁, 로라 위에 올라 1시간 남짓 꾸준히 페달을 밟는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 체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뜻해지는 봄 3월이 되면 실외 주행이 가능해지니, 즈위프트 사용 시간은 줄여가며 실외 라이딩을 늘려가면 된다. 이시기에는 즈위프트는 위에서 언급한 무료 24km 모드로도 충분할 것이다.

zwift 7

올 여름은 역대급 폭염이 지나가고 있다. 보통의 7월이라면 야외 라이딩을 더하겠지만 이런 날씨라면 오히려 건강만 나빠질 수 있다. 이럴때 실내에서의 즈위프트 이용이 답이 될 것이다. 주로 강한 햇살을 피한 이른 아침이나 밤 시간대에, 워밍업이나 회복 주행 용도로 이용을 추천한다. 

이런 방식으로 구성하면 아래와 같은 맴버십 전략이 가능하다:

  • 최대 절약형: 겨울 3개월 유료 + 나머지 무료 → 연간 75% 절약
  • 균형형: 6개월 유료 + 6개월 무료 + 친구 추천 → 연간 50% 절약

연간 결제? 월간 결제? 고민된다면

필자는 즈위프트를 하면서 실외보다 실내에서의 라이딩 시간이 길어지게 되었다. 고민하지않고 현재는 연간 멤버십으로 이용 하고 있다. 연간 멤버십은 월간 대비 2개월 무료 효과가 있다. 가격은 약 199.99달러. 하지만 시즌 중 실외 라이딩이 주가 되는 라이더에게는 비용면에서 단점이 될 것이다.

zwift 1

지난해 까지만 해도, 연간 결제보다는 시즌 단위로 끊어 쓰는 방식이 더 경제적이었다. 여름엔 해지하고, 겨울에 재가입해도 레벨이나 장비 아이템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zwift 4

zwift 2

참고로 ‘정지 기능’을 사용하면 전체 금액이 한꺼번에 빠져나가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자.


추가적인 즈위프트 절약 팁

  • 이메일에서 don't forget 검색하면 예전 프로모션 코드나 무료 사용권 메일이 나오는 경우가 있다
  • VPN을 통해 엔화 결제를 선택하면 23%가량 추가 할인되는 사례도 있다
  • Zwift Ride, Kickr Core 등 하드웨어를 멤버십과 번들로 구입하면 별도 할인 적용 가능
  • 호환 센서(약 6만원)만 있으면 스마트로라 없이도 충분히 실내 훈련이 가능하다

자신에게 적합한 라이딩 플랜을 세우자

실내외 훈련을 병행하는 라이더라면, 굳이 1년 내내 결제할 이유는 없다. 타이밍과 도구, 계정을 나누는 것만으로도 연간 수십만 원 절약이 가능하다. 훈련은 꾸준히, 결제는 영리하게. 이게 바로 Zwift를 현명하게 즐기는 방법이다.

댓글 남기기